이동 삭제 역사 ACL 포만한 수학 연구소 (r1 문단 편집) [오류!] 편집기 RAW 편집 미리보기 굵게기울임취소선링크파일각주틀 === 포만한 사전 === 포만한에서 사용되는 단어들을 정리했다. 이 중에서는 포만한 밖에서도 널리 쓰이는 단어가 있고 시간이 지나 포만한에서 거의 쓰이지 않는 단어들도 있다.[* 일부 포만한 가이드에서 가져옴] * [[포만한]]: 포만한 수학 연구소를 줄인 말, 카페 매니저(8월 23일 기준) 포카칩의 '포'와 카페 부매니저 난만한의 '만한'을 합친 고유명사. * 난만한: 이 카페를 설립한 사람으로서, 연세대학교 수학과 졸업생. 본명은 이해원, 수많은 수학 교재를 집필하였다. 또한 '''기만의 왕'''이다. 닉네임은 '천진난만한'에서 따왔다고 한다. * [[포카칩(인물)|포카칩]]: 이 카페를 설립한 사람으로서, 연세대학교 수학과 졸업생. 포만한 부매니저이자 '수학 영역의 비밀', '포카칩 모의평가'의 저자이다. * Goat 시리즈 * 갓..: 적당히 대단한 사람을 부를 때 사용하는 말. 진짜 대단한 사람에게는 goat를 쓴다. * Goat: Greatest of all times. 진짜 엄청난 사람에게 쓰는 용어. 최근에는 goat의 남발로 인해 여기저기서 말이 많다. * 염소, Cl : Goat * DSG: Dog Sheep Goat : 요즘은 Goat보다 더 많이 쓰이는 말로 말그대로 개씹goat이라는 소리이다. * Poat: Pomanhan of all times. * GoG: God of greatest of all times: 예전 서울대 의대 재학생중에 학점이 4.3만점 4.3학점을 받은 수석 의대생을 보고 어떤 한 포만러가 쓴 단어다. 최고 중에서 가장 최상위를 가리키는 말이다. * 대장/머장/머長/머튽: (=난만한) * 부대장/부머장/부머長/부머튽: (=[[포카칩(인물)|포카칩]]) * 현역: 재수생과 대비되는 말. 보통 재학생(고3)을 의미한다. * [[전화기(은어)|전화기]]: 공대 중에 가장 취업이 잘되고 돈을 잘버는 학과인 전자과, 화학공학과, 기계공학과를 의미한다. * 수미잡: '''수능 미만 잡'''의 줄임말. 모의평가 성적이 어떻든 간에 수능 점수 외에는 전부 쓸모가 없으니 모의평가 성적에 일희일비하지 말라는 의미이다. * 한완수: 이해원의 저서, 한권으로 완성하는 수학의 줄임말. * 오완수: 한완수가 이름은 한 권인데 실제론 다섯 권이어서 붙여진 말. * 919: 이해원이 201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취득한 언어, 수리, 외국어의 등급. * 여쭉줄: '호감을 표현하는 '''여자들을 쭉 줄 세워서''' 제일 괜찮은 여자에게 대쉬'에서 유래한 말. * 칼턱선: 이해원의 턱선이 날카로워 붙여진 말. '''미분가능하지 않다'''는 소문이 있다. * 기만/ㄱㅁ: 기만자, 기만행위 등 실제로는 엄청난 실력/외모 등등의 소유자임에도 불구하고 정반대라고 말함으로써 남들을 ㅂㄷㅂㄷ..하게 만들 때 쓰인다. [br] 예) 지방러 ㅈ살..(울의), 여러분 저 핵멍청한듯 ㅠㅠ (설의), 존못백수 ㅈ살 (연수학)[* 이건 기만이 아닐 수 있다.] * 기만한: 포만한에서 기만이 판을 칠 때 쓰이는 말. * 원 그리면 두1진다: [[포카칩(인물)]] 참고. * 연세대갈껀데: 이해원이 고려대 입학처와의 통화에서 했던말, 혹은 그것을 녹취한 동영상을 의미한다. 녹취한 음성을 누군가가 노래로 만들었다고 한다.(!) * 포모: 포카칩의 저서 - '''포'''카칩 '''모'''의평가의 준말(포만한 모의평가와는 다르다.) * 수비: 포카칩의 저서 - '''수'''학 영역의 '''비'''밀의 준말 * 모평: '''모'''의'''평'''가의 준말 * n회독: 2 이상의 자연수 n에 대하여 어떠한 책이나 문제집을 n번 읽는 것을 의미한다. * 시대/시머: 대치동에 위치한 '''시대'''인재학원 * 강대/강머: 서초동에 위치한 '''강'''남'''대'''성학원 * 물~: [접두사] 쉬운 시험을 형용하는 접두사 ex) [[물수능]] * 불~: [접두사] 어려운 시험을 형용하는 접두사 ex) [[불수능]] * 서못오: 오르비의 '난풋풋하지'라는 회원이 '''ㅋㅋㅋㅋ서울대도 못 오는 것들이'''라 한 것에서 유래한 말이다. 누군가가 약 빨고 만든 동영상이 있지만 볼 수 없다. * 믿~ 시리즈 * 믿찍오: '''믿'''고 '''찍'''는 '''오'''(5)번. 생명과학I의 가계도 킬러 문항의 정답이 주로 5번인 것에서 유래한 말. 평가원이 2016학년도 대수능에서 이를 저격하여 5번이 아닌 선지를 정답으로 출제한 적이 있다. 최근에는 수학 ㄱㄴㄷ 합답형 문항의 정답이 대부분 5번인 것을 지칭하고, 실제로 꽤나 까다로웠던 17,18,19 수능 가형 20번, 20수능 가형 21번에서 먹혀서 문항 난도에 비해 정답률이 높기도 했다. (20번임에도 정답률이 70~80%였다.) 그러나 생명과학I의 경우처럼 평가원이 저격할지도 모르니 시험장에서는 그냥 착실히 푸는게 이롭다. 최후의 수단으로 사용하자. * 믿쓰단: '''믿'''고 '''쓰'''는 '''단'''면화. 공간도형 문제풀이에서 종종 써먹는다. 대표적으로 [[201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리영역 가형 29번. * 믿고 쓰는 변곡접선: 미적분 문제를 만들 때, 특수한 상황을 만들다 보니 변곡점에서의 접선을 그려보면 답인 상황을 찾을 수 있는 경우가 꽤 많아서 생긴 말이다. * 포만한 모의평가[* 원래 이름은 PNMIE/포만한 예비시행이었다.]: 포만한에서 시행하는 좋은 퀄리티의 모의고사로 5월과 10월에 시행되며, 오프라인에서 응시할 수 있고 응시 과목은 수학, 영어, 과학탐구 과목이 있다.[* 코로나 사태 이후로 잠정 중지되었다.] 각 과목별로 포만한에서 활동하는 실전 모의고사 저자나 팀이 출제한다. 문제지를 구입한 후 기존처럼 오프라인 시험장에서 응시하거나 택배로 배송받기 때문에 예전과 달리 온라인 시행은 없다. * 100 100 95 38 44 전북의 가능?: 2016학년도 대수능이 끝나고 한 유저가 "100 100 95 38 44 전북의 가능? 자살?" 이라는 제목의 글을 도배한 것에서 유래된 용어다. 당시 끓는물 수능의 여파로 포만한에도 수능을 망친 사람들이 꽤 있었기에 포만한 유저들이 그것을 기만질로 여겨 그를 질타하기도. 누가 보아도 전북대 의예과 합격 안정권인 성적이었으나, 그 유저는 정말로 몰라서 그런 글을 썼다고 해명했다(...) * 카페가 펑펑: 난만한이 "'이 글 추천수 1000이면 카페 문닫고 탈퇴함"라는 글을 올리자 회원들이 '''카페가 펑펑'''[* 이런 게시물이 당시(숲 만들기 프로젝트) 엄청나게 도배되었지만, 네이버가 다수의 글을 삭제했고 현재 조금만 남아있다.] 이란 게시글로 홍보한 것에서 유래한 것. 얼마 전에 추천수 1000을 돌파하였다. * 옆동네: [[오르비스 옵티무스|오르비]]를 의미한다. * ㅍ/ㅍㅍ: 펑펑이라는 뜻으로 포만한에서 올라오는 수학문제를 맞출 경우 댓글을 ㅍ/ㅍㅍ로 수정해 답을 가리는 용도로 쓰는 초성어이다. * fim: fim: falling in math의 약자로 카페 스탭인 ictteru님을 필두로 몇몇 포만한 유저들이 포만한에 무료로 배포된 모의고사의 문제들을 선별한 것. * ~t: 인강 강사들의 성 또는 특징이 되는 부분 + teacher의 t가 합쳐진 말. [[현우진|현t]], [[한석원|빡t]] 등으로 쓰인다. * 난짱극: 난만한짱짱맨의 극한. 초월함수의 [[테일러 전개]]를 통한 다항함수로의 근사이다. [[남휘종]] 강사가 이것을 처음으로 가르치기 시작했으며 휘극이라고 불리었다. 이후에 휘극을 배운 난만한짱짱맨이라는 닉을 가진 회원이 휘극을 보강하여 난짱극이라는 이름으로 포만한에 전파하였다. 최근 시험의 트렌드를 보면 삼각함수의 극한 기하 문제가 쉽게 출제 되고 있는데 일반적인 풀이로 푸나 난짱극을 적용하나 시간상 아주 큰 차이가 나지는 않는다고 하지만 난짱극을 적용하면 암산 가능한 경우도 제법 있기에 검산용으로라도 배워두면 메리트가 되는 부분이 많다. * OO 오지 마세요: OO 오면 공부 많이 해야 하니 공부하기 싫은 사람은 오지 말라는 뜻이다. 근데 대학교는 고등학교보다 공부 많이 그리고 열심히 해야 되는건 당연하니 어찌 보면 이것도 기만이다. 혹은 과탐 투과목 등지에서 상위권 수험생 유입을 견제하기 위한 용도로도 쓰인다. * 질문 받습니다: 이런 류의 글은 작성자가 성적이 인증된 네임드일 경우에만 질문하고 나머지는 무시하는 게 작성자의 공부 시간에도 도움이 된다. * 102: 물리 인터넷 강사 [[배기범]]t를 가르키는 말. 포만한에서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는 물리과목 강사다. * 투과목을 하는 사람은 똑똑하다. 하지만 진정 똑똑한 사람은 투과목을 하지 않는다: 포만한 회원 '''지피지기'''가 한 말로 과탐 투과목을 하면 수능을 조진다는 '''매우 깊은 뜻'''이 담긴 말이다. * 삼도극: '''삼'''각함수 '''도'''형 '''극'''한의 준말 * 벽돌: 합격 가능성이 적은 대학교의 입시 원서. 입시 시즌에 대학교가 쓸어담은 원서비로 학교 건물 하나를 올린다는 자조적인 의미로, 이러한 원서의 원서비는 벽돌값이라 지칭한다. im preview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는 본인이 기여한 콘텐츠가 CC BY-NC-SA 2.0 KR에 따라 배포되며,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저작자 표시를 하이퍼링크나 URL로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 동의합니다. 또한, 이 동의는 기여한 콘텐츠가 저장되고 배포된 이후에는 철회할 수 없음을 명확히 이해하고 동의합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3.15.190.254)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